독서 기록

존 롤스 정의론 - 황경식

naduyes 2025. 4. 13. 11:16
반응형
SMALL
존 롤스 정의론
‘리더스 클래식’ 시리즈 《존 롤스 정의론: 공정한 세상을 만드는 원칙》. 1971년 초판 출간 후 전 세계 26개 언어로 번역, 《타임》이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책 100선에 이름을 올린 존 롤스의 《정의론》. 이 책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난해하고 권태롭기로 유명한’ 《정의론》을 보다 수월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최소 수혜자에 대한 최우선 배려’, 그리고 ‘평등한 자유’와 ‘차등’의 두 원칙으로 구성되는 롤스의 핵심 개념을
저자
황경식
출판
쌤앤파커스
출판일
2018.07.27

자유를 1순위
그리고 평등을 제 2순위로 두고
최소 수혜자 최우선주의를 원칙으로 하는 존 롤스의 정의론 해설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
술 잔을 가득 채우기 위해서는 술을 넘치게 따라야한다.




공동 자산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은 재능 그 자체가 아니라 재능의 배분 방식이라는 것이다.

롤스의 정의론은 불평등한 자질을 제거하거나 평준화하려는 것이 아니다. 최소 수혜자를 포함한 모든 사회 성원에게 혜택이 가도록 이득과 부담의 체제를 편성하려는 것이다.

롤스가 자신을 계약론자라 생각하듯 그는 계약 당사자들이 공정한 절차에 의거해서 합의를 통해 구성되는 것이 정의의 기준이라 생각한다.

정의의 기준은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 인간들이 공정한 절차를 거쳐 합의에 의해 도출되는 것이다.

천부적 재능, 사회적 지위, 역사적 우연 등이 영향을 미친 인생 전반에 걸친 불평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평등은 단적으로 보면 대단한 것이 아닐지 모르나 오랜 시간 누적되어 발생할 결과는 엄청난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사랑과 정의가 매우 다르다고 생각한다. 사랑의 길이 매우 감성적이라면 정의의 길은 매우 이성적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랑이 나의 것과 남의 것을 나누지 않고 내 것까지도 남에게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정의는 나의 것과 남의 것을 엄밀히 나누고 남의 것을 정확히 그에게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랑과 정의를 깊이 이해하다 보면 사랑과 정의 간의 이 같은 구분이나 장벽이 어떤 지점에서는 무너질 수도 있을 것 같다. 사랑과 정의의 뿌리를 깊이 들여다보면 이 두 가지는 어느 곳에선가 서로 연계되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친구의 술잔을 가득 채우고자 한다면 그의 술잔에 넘치게 따라야 할 것이다. 그의 잔에 꼭 맞게 채우고자 한다면 우리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반응형
LIST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들섹스1 - 제프리 유제니디스  (0) 2025.04.18
토지 13 - 박경리  (0) 2025.04.16
피가로의 결혼 - 보마르셰  (0) 2025.04.11
에라스무스 평전 - 슈테판 츠바이크  (0) 2025.04.10
작별하지 않는다 - 한강  (0) 2025.04.08